티스토리 뷰

반응형

“분명 시급이 1만 원 넘었다는데, 왜 월급은 그대로죠?” “주휴수당이 뭔지 몰라서, 그냥 안 챙겼어요…”
“계산이 너무 복잡해서, 그냥 포기했어요.” 그 마음, 너무 잘 압니다. 그리고 이젠 손해 안 보게 도와드릴게요.

2026년 최저시급 계산법, 시급제와 월급제의 진짜 차이, 주휴수당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이 글 하나로, 당신의 월급을 지키세요.

 

2026년 최저임금.시급, 월급, 주휴수당 총정리

 

 

 

✅ 한눈에 보는 2026년 최저임금 요약

 

항목내용 내용
적용 시기 2026년 1월 1일부터
시간당 금액 10,320원
전년 대비 인상률 2.9% (290원 인상)
월 환산액 (주 40시간 기준) 2,156,880원

 

✅ 2026년 최저시급, 얼마나 올랐을까?

 

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시급은 10,320원입니다. 이는 전년도(2025년)보다 **290원 인상된 금액(2.9%)입니다.

그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월급 환산액은 2,156,880원(209시간 기준)입니다. 이 숫자 안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, 꼭 기억하세요.

 

 

 


 

✅ ‘시급제 vs 월급제’ 뭐가 다른가요?

 

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포인트죠. 시급 × 근무시간 ≠ 법정 월급입니다. 왜냐고요? 주휴수당 때문입니다.

 

 

구분시급제월급제
월급 계산 시급 × 일한 시간 × 주수 시급 × 209시간(주휴수당 포함)
월급제 기준 실제 일한 시간만큼 시급 지급 주휴수당 포함한 전체 근무시간 기준
 

👉 예시
2026년 기준 시급 10,320원 × 8시간 × 5일 × 4.35주 = 약 1,794,600원 (주휴수당 미포함)
법정 최저 월급: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 → 단순 계산보다 약 36만 원 차이
당신이 손해 보고 있을 가능성, 꽤 큽니다.

 

✅ 주휴수당, 정확히 뭐예요?

 

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면, 그 주의 근무를 개근한 경우, 1일 치 유급휴일 수당을 받는 제도입니다.

즉, 주 5일 일하면 6일 치 시급, 주 4일 일해도 조건만 맞으면 일부 주휴수당 발생.

💡 꼭 기억하세요. 법적 의무입니다.

 

 


 

✅ 내 월급, 최저임금보다 낮은지 확인하는 법

 

간단한 공식 하나만 기억하세요. [내 월급 ÷ 209시간 = 실제 시급]

 예시: 월급 200만 원 ÷ 209시간 = 약 9,569원
→ ❌ 최저시급(10,320원)에 못 미칩니다!
→ 최저임금 위반, 법적 문제 발생 가능

 

✅ 나는 지금 뭘 해야 할까?

 

→ 아르바이트생이라면: 시급 계약 시 주휴수당 포함 여부 꼭 확인!

 

→ 월급제 직장인이라면: 내 월급이 209시간 기준으로 맞춰져 있는지 점검!

 

→ 사장님이라면: 최저임금 미지급은 법 위반, 고용지원금·인건비 보조 정책 꼭 확인하세요

 

 

✅ 마무리 한 마디

 

최저시급은 단지 숫자가 아닙니다. 내 삶을 지키는 기준선입니다. 복잡하고 귀찮아서 포기하지 마세요.
이 글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도록 썼습니다.  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저장 또는 공유로 다른 분의 월급도 지켜주세요.

 

TIP. 209시간은 어떻게 나온 건가요?

 

주 5일 근무 8시간 × 5일 = 40시간 174시간
주휴수당 8시간 × 4.345주 약 35시간
총 합산 174 + 35 209시간

 

그래서 2026년 최저시급 10,320원 기준 월급은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
 

 더 궁금한 분들을 위한 공식 출처

 

반응형